(주)디지탈쉽에서 제공하는 솔루션 중의 하나인 ASR-NET3는 망분리가 요구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Server 플랫폼들 간의 데이터를 전환 및 전송할 수 있는 자료공유 솔루션입니다.

망 전환 방식과 디스크 어레이 방식의 특장점 비교

  • 연결된 네트워크에 동시 접속 불가(네트워크별 보안 신뢰성 유지)
  • 기계적 Switching에 의한 물리적 망 전환 제어 방식
  • XML File은 설정된 데이터만 Access 되므로 목적외 사용 불가
  • Windows, Solais, HP-UX, Linux 등 Server 운영체제 지원
  • Power Supply(전원) 이중화 구성 및 과전류 제어 기능 내장
  • 통신속도 : 10/100/1000M 지원
  • ASR-NET3의 모니터링 및 강제 제어 지원(옵션)
  • 규격 : 320mm(W) x 65mm(H) x 230mm(D), 1.5kg
  • 전원 : 220V/AC x 2(전원 이중화)
  • 제조사 : (주)디지탈쉽

ASR-NET3 네트워크 연결 구성도

ASR-NET3 소프트웨어 구성

ASR-NET3 소프트웨어 구성
구분 설명 구성
Syrix(시릭스)
  • ASR-NET3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 형태 : 윈도우 - 콘솔, 리눅스 - 데몬
  • 개발언어 : JAVA
  • 운영환경(OS) : Windows, Linux
기본
Syrix
FTP(Server/Client)
  • 서버간 파일(xml 등) 전송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 형태 : 윈도우 - 콘솔, 리눅스 - 데몬
  • 개발언어 : JAVA
  • 운영환경(OS) : Windows, Linux
기본
Syrix DB Handler
  • DB를 읽어 xml 파일을 생성하거나, xml 파일을 파싱하여 DB에 반영하는 프로그램
  • 형태 : 리눅스 - 데몬 Syrix DB Handler는 임시 DB에 저장하는 역할까지만 하고
    웹 어플리케이션의 Job Schedule에서 운영 DB에 반영하는 작업을 진행
  • 개발언어 : JAVA
  • 운영환경(OS) : Linux
기본
ASR Net Watch
  • ASR-NET3의 망 연결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
  • 형태 : 실행 EXE 파일
  • 개발언어 : Visual Basic, JAVA
  • 운영환경(OS) : Windows
기본

망 전환 방식과 디스크 어레이 방식의 특장점 비교

망 전환 방식과 디스크 어레이 방식의 특장점 비교
구분 망 전환 방식(ASR-NET3) 디스크 어레이 방식(HRX)
자료 이송

PULL 방식

  • 중계서버에서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

PUSH 방식

  • 내/외부에서 중계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면
    디스크어레이로 데이터 이동
중계서버
외부 공개
  • 대상 데이터를 주고, 가져오는 방식으로
    외부에 공개 안함(중앙집중형 통제)
  • 대상 데이터를 외부에서 중계서버에 주고,
    가져가는 방식으로 외부에 공개해야 함
프로그램 개발
용이성
  • 중계서버 1대에 송/수신 프로그램 개발
  • 내/외부 중계서버에 별도로 프로그램 개발
  • 중계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크어레이로
    저장하는 프로그램 개발
데이터 이동
방식
  • TCP/IP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 중계서버까지는 TCP/IP로 이동하고,
    프로그램으로 디스크어레이에 데이터 이동
    (Fiber Channel 이용)
데이터 이동
시간
  •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음
  • 중계서버까지는 네트워크 영향을 받고,
    디스크어레이로 이동 시 네트워크 영향 없음
보안성
  • 네트워크 개/폐방식으로 보안성 우수
  • 중계서버는 외부에 공개로 위험성 내포
  • 디스크어레이는 FC로 보안성 우수
프로그램
개발 비용
  • 추가비용 발생
  • 추가비용 발생

ASR-NET3 구축 사례

디지털 카메라 사용 증가로 개인 PC에 사진을 보관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업무상 촬영된 사진의 보관 및 관리의 모든 책임이 촬영자에게 우선하기 때문에 업무 부담이 클 수 밖에 없습니다.

사진정보은행은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사진 파일과 관련 메타정보를 서버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Web Base로 서비스 함으로써 관리자나
사용자 모두에게 접근하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관리자가 변경되더라도 관리자 변경으로 관리 연속성이 유지되어 꾸준히 관리 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님의 역사를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사진정보은행의 특징

  • 사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촬영된 디지털 사진들을 일관성 있게 기록합니다.
  • 사진 파일을 서버에 저장하는 방식으로써 안전하게 영구적으로 보존/저장합니다.
  • 별도의 환경 구축이 필요 없는 WEB 구현 방식이므로 언제 어디서나 사진을 등록/검색/열람할 수 있습니다.
    다량의 사진을 한번에 등록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의 업무효율이 높으며, 여러 명의 관리자를 두어 한 명의 관리자에게
    업무가 과중 되는 일이 없도록 합니다.
  •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을 쉽고 간편하게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검색 기능을 제공합니다.
  • 필요한 사진을 여러 개 선택하여 한번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사진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사진별로 다운로드 및 인쇄 로그를 기록하고, 워터마크를 적용하였습니다.
  • 관리자가 자주 변경되더라도 사진정보은행을 이용하여 꾸준히 관리하여 고객의 역사를 만들어 나갑니다.

사진정보은행의 운영환경

  • Server : MS Windows Server 2000/2003, SUN Solaris, HP HP-UX, IBM AIX, Linux
  • WAS : Tomcat 5.5 이상
  • DataBase : Oracle 9i 이상, My-SQL 5.0 이상, MS-SQL 2000 이상
  • Java : JDK 1.5.0_X 이상
TOP